
Helm??
Helm의 존재를 모르고 디플로이먼트부터 서비스 시크릿 등등.. 각각의 yaml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았다면 일종의 귀찮음을 느꼈을 것이다. 하나의 ns에만 배포한다면 모르겠지만, 개발, 배포 ns로 나누어서 진행했던 경험이 있다면 각각 일일이 적용했던 경험이 있다. 만일 Helm을 미리 알았다면 좀더 편했지 않았을까.. 물론 지금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아직은 미숙하다.
Helm은 위에서 말해던 다양한 리소스를 각각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패키지고 관리하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Charts are easy to create, version, share, and publish — so start using Helm and stop the copy-and-paste.
- Helm
Helm의 구성요소
Helm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차트(Chart), 릴리즈(Release), 레포지토리(Repository), 템플릿(Templates)을 알면 도움이 된다.
Chart
Chart는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템플릿과 설정파일들을 묶은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차트라고 해서 그래프가 아닌 묶음이다

Helm Chart는 위와 같은 특별한 구조를 가진다.
Release
Release는 Chart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한 인스턴스이다. 릴리즈는 차트로 관리되는 것이 아닌, 릴리즈의 이름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여러 릴리즈를 동일한 차트로 생성할 수 있다.
Repository
Helm Chart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소이다. 기타 패키지 관리도구의 repository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Templates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정의하는 yaml파일이다. Helm은 이 template를 사용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Template이름 그대로 알수 있듯이 사용자가 리소스 전체를 yaml파일로 정의하는 것이 아닌, 변수만을 수정해서 리소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Helm은 이 변수를 values.yaml을 참고해서 가져오게 된다. 즉 이 values.yaml파일만 수정하게 되면 Chart아래의 템플릿에서 사용되는 이름 같은 정보를 한번에 수정할수 있는 것이다.
템플릿은 GO 템플릿 언어로 작성된다.
이렇게 Helm에 관해서 정리해보았지만 실제로 잘 이해해보기 위해서는 미약하더라도 직접 Helm Chart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직접 작성해볼 예정이다.
'Cloud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컬 우분투 쿠버네티스 구성에서 배포까지 - 2 [프론트엔드] (5) | 2025.01.07 |
---|---|
로컬 우분투 쿠버네티스 구성하기 - 1 (9) | 2025.01.06 |

Helm??
Helm의 존재를 모르고 디플로이먼트부터 서비스 시크릿 등등.. 각각의 yaml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았다면 일종의 귀찮음을 느꼈을 것이다. 하나의 ns에만 배포한다면 모르겠지만, 개발, 배포 ns로 나누어서 진행했던 경험이 있다면 각각 일일이 적용했던 경험이 있다. 만일 Helm을 미리 알았다면 좀더 편했지 않았을까.. 물론 지금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아직은 미숙하다.
Helm은 위에서 말해던 다양한 리소스를 각각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패키지고 관리하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Charts are easy to create, version, share, and publish — so start using Helm and stop the copy-and-paste.
- Helm
Helm의 구성요소
Helm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차트(Chart), 릴리즈(Release), 레포지토리(Repository), 템플릿(Templates)을 알면 도움이 된다.
Chart
Chart는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템플릿과 설정파일들을 묶은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차트라고 해서 그래프가 아닌 묶음이다

Helm Chart는 위와 같은 특별한 구조를 가진다.
Release
Release는 Chart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한 인스턴스이다. 릴리즈는 차트로 관리되는 것이 아닌, 릴리즈의 이름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여러 릴리즈를 동일한 차트로 생성할 수 있다.
Repository
Helm Chart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소이다. 기타 패키지 관리도구의 repository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Templates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정의하는 yaml파일이다. Helm은 이 template를 사용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Template이름 그대로 알수 있듯이 사용자가 리소스 전체를 yaml파일로 정의하는 것이 아닌, 변수만을 수정해서 리소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Helm은 이 변수를 values.yaml을 참고해서 가져오게 된다. 즉 이 values.yaml파일만 수정하게 되면 Chart아래의 템플릿에서 사용되는 이름 같은 정보를 한번에 수정할수 있는 것이다.
템플릿은 GO 템플릿 언어로 작성된다.
이렇게 Helm에 관해서 정리해보았지만 실제로 잘 이해해보기 위해서는 미약하더라도 직접 Helm Chart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직접 작성해볼 예정이다.
'Cloud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컬 우분투 쿠버네티스 구성에서 배포까지 - 2 [프론트엔드] (5) | 2025.01.07 |
---|---|
로컬 우분투 쿠버네티스 구성하기 - 1 (9) | 2025.01.06 |